Surprise Me!

[뉴스라이더] 확산하는 역전세 공포...세입자 대책은? / YTN

2023-05-03 154 Dailymotion

■ 진행 : 김대근 앵커 <br />■ 출연 :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들으신 것처럼 임대차법 시행 이후 급등했던 전셋값이 최근 큰 폭으로 내린 가운데 대도시, 신축 아파트도 역전세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빌라만 문제가 아니라는 건데요. 대책은 없는지,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과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. 최근에 역전세 문제가 연일 지적돼왔는데 그런데 오늘 저희가 자리를 마련한 게 보통 역전세 문제 얘기할 때 빌라 얘기 많이 했잖아요. 그런데 나온 기사 내용을 보니까 수도권 신축 아파트도 역전세가 우려된다, 이런 얘기예요.일단 지금 현황이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우병탁] <br />우선 전국 기준으로 아파트 전세가가 2년 전 대비해서 전체 62%가 하락 거래라는 것이고요. 특히 수도권은 전체의 66%, 다시 얘기하면 10건 정도가 있다고 했을 때 6~7건 정도는 전세 가격이 2년 전보다 하락했다라는 것이고요. 이 정도 수치가 되게 되면 체감적으로는 전국적으로 아파트의 경우에도 전세 가격이 종전보다 올랐다라고 하는 지역은 아예 찾아보기 힘든 정도 수준이라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보니까 전국 평균이 62%라는 거죠. 그리고 지방이 57%. 최고가에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그 비율을 봤을 때. 그런데 수도권이 66%예요. 수도권 같은 경우에는 전세 수요가 아무래도 많으니까 역전세 우려가 없을 것 같은데 전세가가 떨어진 비율을 봤더니 지방이나 전국 평균보다 많게 나타났다. 이 현상 어떻게 봐야 됩니까? <br /> <br />[우병탁] <br />기본적으로는 지방의 경우보다 가격 변동의 폭이 지방보다 수도권 지역이 훨씬 더 컸었죠. 매매가격이 올라가는 것도 마찬가지고 전세 가격의 상승 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. 그러니까 산이 높댜보니까 결국 골도 깊다라는 표현 그대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고요.결정적으로 2020년 임대차3법을 시행하게 되면서 그 시행 직전에 상당수의 집주인들이 제도 시행하기 전에 일정 부분 그 뒤에 올려받지 못하게 되니까 당겨서 일시에 많이 높여서 부른 현상이 있었고요. <br /> <br />기억하시겠지만 그 당시에 서울, 수도권 지역의 경우에는 특히 전세를 구하기 위해서 줄을 서서 대기해서 집을 보고 있다가 집을 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50309302649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